K-POP 음반에 굿즈를 넣는 전략, 수익보다 중요한 두 가지 이유
K-POP 산업에서 음반 판매는 여전히 중요한 수익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팬들이 ‘음반’을 사는 이유는 음악보다도 그 안에 들어 있는 구성품(굿즈)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포토카드, 엽서, 접지 포스터, 스티커 등 수많은 굿즈가 CD 안에 포함되며, 때로는 버전마다 구성품을 달리하여 팬들의 반복 구매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K-POP은 왜 이렇게 음반에 굿즈를 포함시키는 전략을 계속 강화하고 있을까요? 단순한 판매량 증대를 넘어, 훨씬 더 중요한 목적이 있습니다. 음악이 아닌 ‘소장 가치’를 만들어내는 전략 K-POP 음반은 디지털 스트리밍 중심 시대에도 꾸준히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소장 가치’라는 비물질적 보상이 있습니다. 포토카드, 미공개 사진 등 물리적 구성품이 ‘내 아이돌을 소유한다’는 감각을 제공 여러 버전을 모으는 행위 자체가 팬의 수집욕구와 애정 표현 방식 굿즈가 음반의 핵심이 되며, 앨범은 하나의 ‘패키지 상품’으로 재구성됨 이 전략은 음반을 단순한 음악 매체가 아닌, 팬의 취향을 반영한 브랜드 상품 으로 진화시키는 방식입니다. 팬과의 ‘심리적 연결 고리’를 강화하기 위해 굿즈는 단순히 예쁜 이미지가 아닙니다. 팬은 그것을 통해 아이돌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감각 을 얻습니다. 이 정서적 작용은 매우 큽니다. 포토카드에 ‘내 최애 멤버’가 나올 확률이 랜덤 이라는 점이 팬의 몰입도를 높임 팬은 포토카드를 받으며 “이건 나만의 것”이라는 주인공 의식을 느낌 다른 팬들과의 굿즈 교환, 트레이딩 등의 커뮤니케이션이 팬 커뮤니티의 활성화 로 이어짐 이처럼 굿즈는 아이돌과의 감정적 거리감을 좁히고, 팬이 콘텐츠에 더 깊이 몰입하도록 유도 하는 도구입니다. 팬덤 내부에서 순환되는 ‘2차 가치’를 유도 K-POP 굿즈는 구매 후 끝이 아닙니다. 팬들 사이에서 굿즈를 교환하거나 리셀하는 문화가 강하게 형성돼 있으며, 이는 또 다른 ...